본문 바로가기
천문학

겨울에 볼수 있는 토끼자리별자리

by 나라혜택러77 2023. 10. 4.

오리온에게 쫓기는 먹이라는 그리스신화를 가지고 있는 토끼자리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그리스로마신화

토끼자리별자리의 유례는 그리스나 로마 전통에서 온 인물이 아닙니다. 사실 엘리시안 남쪽 반원에 위치한 별자리입니다. 그것은 토끼를 나타내며 여러 사회의 다채로운 신화 이야기와 자주 연관됩니다. 그리스 전통에서는 토끼자리별자리와 관련된 뚜렷한 신화나 등장인물이 없지만, 사냥꾼 오리온 이야기의 일부 공연에서는 오리온이 숲 속에서 사냥을 하다가 아틀라스의 아름다운 일곱 딸 플레이아데스에 매료되었다고 전해집니다. 그가 그들을 쫓을 때, 그들은 신들에게 도움을 청했고, 제우스는 그들을 비둘기로 바꾸어 플레이아데스 성단으로 알려진 성단으로 하늘에 놓았습니다. 이 신화에서 토끼는 때때로 오리온에게 쫓기는 먹이로 묘사됩니다. 로마 신화에서 레푸스 별자리는 토끼와도 관련이 있지만 뚜렷한 신화적 서술이 있는 것은 아니며, 큰 천체도의 일부로 주로 주로 알려져 있다.

2. 토끼자리별자리의 모양

이 별자리는 남반구에 있는 별자리로, 종종 토끼와 연관됩니다. 모양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레푸스는 오리온자리 바로 남쪽에 위치한 작고 희미한 별자리로, 흔히 사냥꾼 오리온에게 쫓기는 토끼로 묘사됩니다. 개별 별을 보면 레푸스의 모양이 토끼를 강하게 닮지는 않았지만 신화와 예술적 재현이 이 동물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레푸스에서 가장 밝은 별은 "토끼"를 의미하는 아랍어 단어인 Arneb라고 불립니다. 개별 별들은 뚜렷한 토끼 모양을 형성하지 않을지 모르지만, 하늘에서의 별자리의 위치와 오리온자리와의 연관성은 그것을 북반구의 겨울 밤하늘에서 알아볼 수 있는 부분으로 만듭니다.별자리들은 그들의 이름과 같은 이름의 완벽한 표현보다는 그것들이 나타내는 상상력과 이야기에 더 가깝다는 것을 명심하세요. 역사를 통해 천문학자들과 문화들은 별에서 다른 패턴과 이야기를 봐왔고, 이러한 해석은 다양할 수 있습니다.

3. 토끼자리별자리의 별종류

토끼자리별자리는 남쪽 하늘에 있는 별자리입니다. 이들는 88개의 공인된 별자리 중 하나이며, 천구 적도 바로 남쪽에 위치해 있습니다. 여기에 별자리 내의 별들과 별의 종류에 대한 몇 가지 세부사항이 있습니다.

1) 알파(Alpha; Lep, Arneb)

토끼자리에서 가장 밝은 겉보기 등급 2.59인 약 2,200광년 거리의 '초거성'입니다.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 '아르네브(Arneb)'는 '산토;를 뜻합니다.

2) 베타(beta; Lep, Nihal)

겉보기 등급 2.84인 약 160광년 거리의 '거성'입니다.아랍어에서 유래한 이름 '니할(Nihal)'은 '갈증 해소lsquo;를 뜻합니다.

3) 감마(gamma; Lep)

겉보기 등급 3.59인 약 29광년 거리의 '주계열성'입니다.

4) 델타(delta; Lep)

겉보기 등급 3.85인 약 114광년 거리의 '거성'입니다.

5) R

겉보기 등급이 5.5에서 11.7까지 약 247일을 주기로 변하는 약 1,350광년 거리의 '변광성'입니다.'미라형 변광성'으로 지름은 태양의 약 400배이며, 밝기는 태양 광도의 약 6700배에 이릅니다.

6) 스피로그래프 성운(Spirograph Nebula, IC 418)

약 2,000광년 거리에 있는 '행성상 성운(Planetary Nebula)'입니다.기하학적인 패턴을 그릴 수 있도록 해주는 특이한 장난감인 '스피로그래프(Spirograph)'의 이름에서 따왔습니다.

7) 구상성단 Messier 79(M79, NGC 1904)

약 4만 2천 광년 거리에 있는 '구상성단(Globular cluster)'입니다.

8) 막대나선은하(NGC 1964)

약 6천5백만 광년 거리에 있는 '막대나선은하(Barred spiral galaxy)'입니다. 지름은 약 10만 광년이며 중심부에는 초거대질량의 블랙홀이 있습니다. 작은 은하인 NGC 1979 , IC 2130, IC 2137을 포함하는 은하입니다.

 

아름다운 별들을 품고 있는 토끼자리 별자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알면 알수록 신부로운 별자리들의 이야기는 계속됩니다.